본문 바로가기
생활지식/생활금융

주택담보대출 용어 정리(2): DSR의 뜻과 계산법

by 나른한 고냥이 2024. 1. 6.

대출의 과정에서 자주 보게 되는 용어 DSR. 

DSR이 무엇인지 뜻을 알아보고 계산방법을 알아봅시다.

DSR의 뜻

DSR이란 총부채원리금상환액으로 개인이 상황을 감당할 수 있는 만큼의 대출을 시행하도록 규제하는 방법입니다.

즉, 개인이 은행 등 금융기관으로부터 받은 모든 대출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을 연 소득으로 나눈 비율을 말합니다.

가계부채가 지나치게 늘어나는 것을 예방하고자 정부에서  DSR 40%이하로 규제하고 있습니다.

DSR 40%은 대출을 받은 사람의 총 대출금액이 1억원이 초과될 경우, DSR이 40%가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만 대출한도가 결정하는 기준을 말합니다. 제2금융권의 DSR은 50%로 규제하고 있습니다.

DSR계산

DSR을 계산할때는 연소득, 연간 원리금 상환액(주담대와 기타부채) 두 가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DSR을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즉, 내가 가진 모든 대출 원금과 이자의 1년 동안 상환금을 더하고 연소득으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DSR 40%로 알아보겠습니다.

 DSR 40%라는 규제가 있다면 DSR계산 값은 40% 이하여야 합니다.

즉, 개인의 모든 대출에 대하여 1년동안 원금과 이자를 상환하는 금액이 나의 연소득의 40% 이하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연 소득이 5,000만원 일 경우, 개인이 연간 상환하는 대출의 원금과 이자는 총 2,000만원 이하여야 합니다.

 

DSR의 계산이 복잡하지만 DSR계산기를 활용하면 쉽고 정확한 대출 가능 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네이버 금융계산기

 

DSR계산기 : 네이버 통합검색

'DSR계산기'의 네이버 통합검색 결과입니다.

search.naver.com

복잡하고 어려운 금융용어 하나씩 알아가 보며 건강한 가계경제를 만들어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