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학 ㅣ 경제용어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의 정의와 사례, 대응 방안

by 나른한 고냥이 2023. 12. 16.

낙후된 구도심이 활성화되며 새로운 핫플레이스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는데 그 문제를 젠트리피케이션이라고 합니다. 

오늘은 젠트리피케이션의 정의와 구체적인 사례와 대응 방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정의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은 낙후된 구도심 지역의 발전이 활성화되면서 외부인과 자본이 유입되며 대형 상업시설과 문화시설 그리고 고급 주택이 들어오며 임대료가 상승되어 원주민이 밀려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우리말로 하면 둥지 내몰림 현장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젠트리피케이션은 낙후된 지역의 재생과 도시 활력을 일으키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습니다. 노후화된 건물이 새롭게 단장되고, 다양한 상점과 문화 시설이 들어서면서 지역이 활기를 되찾게 됩니다. 고소득층의 유입으로 지역 경제가 활성화되고, 새로운 유입인구가 늘어나 세수 증대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인해 임대료가 급등하게 되면, 기존에 저렴한 임대료로 거주하던 원주민들이 거주지를 잃게 됩니다. 원주민의 주거권 침해와 지역 문화의 붕괴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또한 외부인의 유입으로 지역의 고유한 문화와 생활 방식이 외부인에 의해 희석될 수 있습니다.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사례

젠트리피케이션은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신사동의 가로수길이 대표적인 젠트리피케이션의 사례입니다, '가로수길'은 지하철 3호선 신사역에서 현대고등학교 앞을 지나는 은행나무 가로수들이 2차선으로 즐비한 모습에 만들어진 명칭이다. 이곳은 2000년도 이후 외부 자본이 유입되었습니다. 가로수길은 다양한 프랜차이즈, 값비싼 편집샵, 고급 와인바 등이 자리하게 됩니다. 고급화된 상권과 문화시설이 들어오며 가로수길의 땅값과 임대료는 서울시 평균 땅값과 임대료를 훌쩍 뛰어넘었다. 이곳에 터를 잡고 있던 원주민이나 소상공인들은 땅을 팔거나 높은 임대료에 견디지 못하여 이곳을 떠나가게 되었습니다.

2015년의 영국의 런던의 쇼디치 마을에서도 젠트리피케이션이 발생했습니다. 임대료가 싼 쇼디치 마을에는 가난한 예술인들이 모여 살고 있는 동네였습니다. 예술인들이 모인 이 마을엔 공연장과 갤러리도 곳곳에 위치하여 있었습니다. 점점 예술인의 마을로 자리 맺음 하게 됩니다. "세계 트렌드를 알고 싶다면 쇼디치를 보라."라는 말이 생겨나며 마을은 유명해집니다. 마을이 점차 유명해지며 고급 카페와 상점이 입점하며 외부 자본이 유입되기 시작합니다. 이후 쇼디치 마을의 임대료는 점차 상승하게 됩니다. 높은 임대료를 버티지 못한 원주민과 예술인들은 마을을 떠나 다른 곳으로 옮겨가게 됩니다.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대응방안

젠트리피케이션의 방생은 결국 임대료의 상승과 원주민의 거주지를 잃게 된다는 사회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방안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 번째 원주민의 생존권을 보장해 주는 제도를 마련하는 것입니다. 임대료의 상한제 도입, 주거 안정을 지원 등 다양한 제도를 마련하는 것입니다.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인한 급격한 임대료 상승을 막기 위해 이를 제한하하고 주거비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정책 지원을 마련하며 소상공인과 원주민을 보호하는 것입니다.

두 번째 지역 문화를 보존하고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입니다.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인해 상업시설과 고급 주책의 유입이 경제 발전에는 긍정적이지만 원주민의 이탈은 지역의 특색과 고유한 문화를 상실하게 합니다. 획일화된 도시는 도시의 경쟁성을 잃게 합니다. 지역 축제와 마케팅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도시마다의 독특한 분위기와 고유한 분위기를 지켜나 갈 수 있습니다.

 

오늘은 젠트리피케이션의 정의와 사례 그리고 대응방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번에도 유익한 경제 상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