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학 ㅣ 경제용어

그레셤 법칙(Gresham's law)의 정의, 원리와 적용 사례

by 나른한 고냥이 2023. 12. 14.

오늘은 그레셤 법칙의 정의와 원리 그리고 적용 사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레셤 법칙(Gresham's law)의 정의

그레셤의 법칙은 16세기 영국의 재무관이었던 토머스 그레셤(Thomas Gresham)이 처음 언급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당시 영국에서는 금과 은으로 주조한 화폐가 통용되고 있었는데, 금의 가치가 은의 가치보다 높아지자, 사람들은 금화는 보관하고 은화만을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그 결과, 금화는 유통시장에서 사라지고, 은화만이 유통되게 되었습니다.

그레셤의 법칙(Gresham's law)은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는 의미의 경제학 법칙입니다. 이 법칙에서의 '악화'와 '양화'는 모두 화폐의 가치가 있는 재화이지만 다른 점이 있습니다.

'악화'는 재물로의 가치가 낮은 돈이고 '양화'는 재물로의 가치가 높은 돈을 뜻합니다. 즉 화폐의 가치를 지닌 재화 중 재물로서의 가치가 높은 재화인 '양화'는 저축하고 재물로서의 가치가 낮은 재화인 '악화'를 주로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현상이 지속되면 재물로서의 가치가 높은 양화는 시장에서 모습을 감추게 됩니다.

그레셤 법칙(Gresham's law) 의 원리

그레셤의 법칙은 물질적 가치와 신뢰성의 차이에 의해 야기되는 현상입니다. 물질적 가치가 낮은 돈은 신뢰성이 낮고 유통 시장에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반면 유통시장에서는 신뢰성이 높고 물질적 가치가 높은 화폐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레셤의 법칙은 통화의 가치를 결정하는 것은 물질적 가치가 아니라 신뢰성임을 보여줍니다. 화폐로 신뢰하면 물질적 가치가 낮은 화폐로도 유통될 수 있게 됩니다. 그러나 물질적 가치가 높은 통화라도 통화로 신뢰할 수 없으면 유통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레셤의 법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물질적 가치와 신뢰성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물질적 가치란 돈 자체의 가치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금화의 물질적 가치란 금의 가치를 의미합니다. 반면 신뢰성이란 화폐가 화폐로 사용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합니다.

그레셤 법칙(Gresham's law)의 적용 사례

우리나라의 5만원권의 사용에서도 그레셤의 법칙을 살펴볼 수 있습니. 5만원권은 10만 원권 수표 발행을 줄이기 위해 발행된 지폐입니다. 5만원권의 환수율은 매우 낮았습니다. 2011년 현금 110억이 어느 한 마늘밭에서 발견되는 사건이 있었습니다. 현금은 모두 5만원권이었고 이 돈은 불법도박 수입금으로 밝혀졌습니다. 이후 5만원권은 범죄, 탈세, 뇌물 등으로 사용되어 환수율이 낮다 주장이 나왔습니다. 즉, 불법적인 쓰임으로 (악화) 5만원(양화)를 시장에서 내쫓고 있습니다.

그레섬 법칙은 경제용어로 활용되지만 요즘에는 사회현상에 사용되기도 합니다. 품질이 좋은 제품에 비해 좋지 않은 제품이 시중에 유통되는 현상이나 기업이 능력이 낮은 사람을 지원하여 명석한 인재가 조직을 떠나게 되는 현상 등에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중고차 시장에서 품질이 낮은 중고차를 먼저 팔려고 한다면 때문에 소비자는 중고차의 품질에 신뢰를 잃어갑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품질이 좋은 중고차는 시장에서 사라지게 되고 품질이 낮은 중고차만 유통되는 악순환만 남게됩니다.

오늘은 그레셤 법칙의 정의와 원리 그리고 적용 사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번에도 유익한 경제 상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